반응형
새집인데 인테리어가 필요해?


와이프와 서로 수없는 질문을 하였던 부분이다.

아래 같은 장/단점이 있으나 결국 시공하기로 결정하였다.

결론 - 장점 (가장 장점인 인테리어 측면에서 이걸로 하기로 했다.)


1. 아래 방바닥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갈색으로 칙칙하다.
ㄴ화사하고 세련된 색상을 원한다!
ㄴ나중에 집을 팔게될때 인테리어 비용을 모두다 받을 수 없겠으나
집은 더 잘 팔리지 않을까?

2. 기존 시공된 강화 마루는 시간이 가면 손상이 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ㄴ대리석 느낌의 포쉐린 타일은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좋다

3. 강화마루보다 열전달이 좋고,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시원함을 느낌수 있다.

결론 - 단점


1. 물이 묻으면 이동시 미끄럽다.
ㄴ 바닥에 러그 같은걸 깔아놔야한다. 특이 아이가 있는집

2. 똑같은 타일을 5년 10년뒤에 구하기 어렵다.
ㄴ 같은 스타일의 디자인을 계속생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공시 남은 자투리 보관 필수

3. 비싸다..
ㄴ 시공사 마다 인테리어집 마다 다르지만 상당히 비싼편이다.
(참고로 우리집은 35평형 거실+주방 기준 20평형 계산시 440만원 계약함)

4. 부분인테리어시 다른 인테리어와 어울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ㄴ이로인해 다른 인테리어(벽지 색상등)를 건들여야할지도 모른다.. 기본적으로 걸레받이 부터..
우리는 바닥부터 해보고 결정하기로 함

5. 방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단차, 그리고 타입의 높이로 인해 문이 안닫힐 수 있다.
ㄴ이는 타일 시공 사장님과 여러번 이야기를 해서 잘 시공해주시기로 하였음





@@ 시공을 위한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종합인테리어 VS 타일 전문 업체

종합인테리어 집에 맡기면 단가가 상당히 높다
(단가가 높아도 돈을 지불할 의향이 있었으나 수원인근 종합인테리어집은 종합적인 인테리어를
하지 않으면 10월까지 계약이 꽉차있다는 답변을 들었다..)


타일을 전문으로 하는곳에 맡겼는데 견적가격도 저렴했다. (혹시 궁금하면 쪽지 주세요.)

2.현장 답사 및 실측 (공사전 현장상황 파악 및 타일을 고르기 위한 협상)

3.충분한 협의 후 타일 고르기
(이부분은 솔찍히 종합 인테리어 업체가 아니기 때문에 의뢰하는 사람이 선정을 해야한다.
타일집은 추천을 해주고 여러 시공 후 사진을 보여주나 최종 선택은 의뢰하는 사람의 몫
이부분이 종합 인테리어와 타일집의 견적차이가 아닐까..)


4.시공! (20평 기준 3~4일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바닥을 다시 들어내고 갈아내는 작업으로 인하여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시공전 사진 --> 시공후 사진은 9월 8일날 예정되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거실에서 창문을 바라본 사진

 

거실에서 주방을 바라본 사진
거실에서 안방을 바라본 사진

 

 

반응형
공사 완료 후 사진 공개!!

집안 분위기가 화사해지고, 로봇청소기 돌리기 제격이다.
걸레받이 색상과 어울리지 않을까 걱정을 많이 했는데 괜찮았다.

 






https://studyexcel.tistory.com/39

 

[화서역 파크 푸르지오 입주 준비] - 포세린 타일 시공

새집인데 인테리어가 필요해? 와이프와 서로 수없는 질문을 하였던 부분이다. 아래 같은 장/단점이 있으나 결국 시공하기로 결정하였다. 결론 - 장점 (가장 장점인 인테리어 측면에서 이걸로 하

studyexcel.tistory.com


https://studyexcel.tistory.com/40

 

[화서역 파크 푸르지오 입주 준비] - 데스커 컴퓨터용 책상/의자 구매!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 책상 자취를 할때 구매했던 책상이다. 10만원도 안되는 저렴한 가격으로 10년넘게 사용하였으니.. 다만 튼튼한 구성과 "ㄱ"형태의 구조는 2개의 듀얼 모니터 (LG 38인치 38GL950

studyexcel.tistory.com

https://studyexcel.tistory.com/38

 

나의 부동산 일기 - 1

전원주택에서 보낸 유년시절 지금도 생각해보면 정말 사람이 많이 없는 강원도 촌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무엇보다 항상 전원 주택에 살고 있었기 때문에 나는 '아파트'라는걸 모르고 지냈다.

studyexcel.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